완전자율주행 엣지 RSU 도로정보기술 주목

‘전지적 시점’의 ‘인프라 가이던스’를 통해 복합적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한 사실상 ‘세계 최초’를 개발 중 “레벨 4 이상 완전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하겠다.

‘전지적 시점’의 ‘인프라 가이던스’를 통해 복합적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한 사실상 ‘세계 최초’를 개발 중 “레벨 4 이상 완전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하겠다.

완전 자율주행 시스템과 U-시티 기능이 구현된 스마트시티 조감도.

[애플 경제의 박·뭉속 기자]현재 수준 3~수준 3.5수준의 자동 운전 차는 다양한 교통 사고로 문제가 되고 있다.레벨 4이상의 고도의 자동 운전을 위해서는 차량 자체의 라이더나 센서에 그치지 않고 주변 도로 상황과 도시 공간 전체를 조망하는 자동 운전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한국 건설 기술 연구원에서 연구 중의 “인프라 가이던스”는 그런 점에서 완전 자동 운전 시대를 위한 복합 도로 정보 시스템으로 주목 받고 있다.이는 마치 항공 사진이나 공중에서 내려다보도록 넓은 반경의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자동 운전 차와 교감하는 시스템이다.한국 건설 기술 연구원 연구,”기존 자동 운전 환경 한계 극복”이를 소개한 KICT도로 교통 연구 본부의 장·지영 선임 연구원은 “안전성만을 고려할 뿐 아니라 도로 혼잡도와 기후 변화에 대응하도록 주변의 복합적 상황과 환경까지 감지하는 것이 인프라 가이던스 기술”며 이른바”에지 RSU(Edge RSU, Roadside unit)”기술을 제시했다.”인프라 가이던스”가 제공되는 도로에 설치된다”에지 RSU”는 일종의 통신 기능을 갖춘 도로 시설이다.내부에 영상 센서와 라이더가 장착되어 자주적으로 도로의 실시간 동적 정보를 수집한다.이 때 수집된 동적 정보는 다시 외부 제휴 정보와 융합하고 자동 운전 차량 주행을 조정하는 알고리즘으로 차량에 전달될 것이다.장 연구 위원은 “딥 러닝 기반 알고리즘은 교통 흐름의 안전성이나 이동 상황을 원활히 하고 배출 가스 저감과 같은 환경성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주행 방법을 자동 운전 차에 제공할 “이라며”그 결과 『 인프라 가이던스 』이 제공되는 도로를 운행하고 있는 모든 자동 운전 차는 다른 차량과의 협력 주행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자율주행 인프라 지침 개념(출처=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에 따르면”에지 RSU”는 결국 차량 단독(Stand-alone)에서 스스로 인지, 대처할 수 없는 주변 상황을 도로 이용자가 상호 협력하여 해결하는 역할도 한다.한국 건설 기술 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현재 자동 운전의 핵심이라는 중요한 센서 장비는 인지 가능 영역이 최대 250m이내다.인지 가능 영역의 최대 범위는 시정 거리가 충분히 확보될 정상 범위의 기상 조건으로 센서가 발휘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이다.장 연구 위원은 “안개, 강우나 적설 등 시야가 제한되는 환경에서는 인지 능력이 현저히 낮아질 수밖에 없다”며”전방의 기상 상황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도로 교통 상황을 지속적으로 자동 운전 차량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즉 자동 운전 차가 주변의 차량이나 인프라와 통신하는 다양한 도로 교통 상황 정보를 획득하기로 단독 자동 운전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안전을 기할 수 있는 자동 협력 주행 시스템이 요구된다는 설명이다.”고속 도로 합류 지점, 우회전 차선 등에 특히 필요””에지 RSU”기반”인프라 가이던스”는 그런 고민의 결과다.즉”도로 인프라에서 차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이 스스로 인지한 정보와 융합하고 안전하게 도로를 주행할 수 있다면 완전한 자동 협력 주행이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다.또”에지 RUS”기반”인프라 가이던스”가 적용되는 지점으로 고속 도로 합류 지점과 도심 내 우회전 전용 차로가 설치된 신호 교차점을 제시하고 있다.예를 들면, 다른 방향에서 온 자동 운전 차가 본선(또는 주도로)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본선 내의 다른 차량의 상황을 알아야 한다.또 합류 예상 시점에서 해당 차량의 속도나 주행 차선 등의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충돌 없이 안전하게 합류하려면 서로에게 상황을 공유하는 일종의 “선약”을 해야 한다.즉”합류가 예상되는 지점에 누가 먼저 진입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라는 얘기다.만약 이런 약속 없이 다만 센서 정보에만 의존하고 자동 운전 차 스스로 주행하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바로 그런 점에서 이른바”3인칭 전지적 작가”의 시선으로 전체 도로 상황을 조망하는 것이 “인프라 가이던스”이며 그 기반 기술이 “에지 RSU”이다.이는 마치 헬리콥터나 비행기를 타고 도심을 내려다보며 도로 교통 상황을 통제하는 것이다.

도로 ‘인프라 가이던스’가 적용될 필요가 큰 도로 합류 지점이나 교차로 이미지. (출처=한국건설기술연구원)연구원에 따르면 또”인프라 가이던스”는 드라이버가 필요 없는 레벨 4이상의 고 고도 자동 운전 차를 대상으로 한다.이런 기술과 시설은 자동 운전 차량이 통행하는 전국 전국 도처 도로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그러나 그 전에 우선 지급 적용돼야 할 대목은 이 같은 고속 도로 합류부와 신호 교차 점 등이 꼽힌다.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회전 교차점처럼 완전 자동 운전 차 단독으로는 상황 파악이 쉽지 않은 곳에 설치돼야 한다는 주문이다.장 연구 위원은 “최근까지 수준 3이하의 자동 운전 상용차에 의한 사고가 단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이라며”『 인프라 가이던스 』은 현재 국내외를 막론하고 레벨 4또는 레벨 5이상 완전 자동 운전 시대에 대비한 선제적인 연구에 해당하는 “이라고 말했다.출처:완전 자동 운전을 위한 “에지 RSU”도로 정보 기술”주목”<통신/방송<ICT<기사 본문-애플 경제(apple-economy.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